깨알정보


바람의나라, 거상, 메이플스토리 등 어린 시절 즐겨했던 게임들은 이상하게 bgm만 들어도그때의 추억이 떠오르며 다시 그 시절로 돌아가고 싶어진다. 이제는 어른이 되어 원하는 게임을 마음껏 즐길 수 있지만,더 이상 아무 걱정 없이 게임만 하던그때로는 돌아갈 수 없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20년 전의 바람의나라가 클래식으로 돌아왔다.다람쥐를 잡고 동동주를 먹으며 화염주를 쓰던맵도 없고 시스템도 상당히 불친절하지만이상하게 접속해 있는 것만으로도 즐거웠다. 작년 11월 출시일부터 꾸준히 즐겼는데,최근 업데이트로 게임에 큰 변화가 생겼다.예전 바람에는 없었던 새로운 마법들이 등장했다.처음에는 근본을 해치는 패치라고 생각했지만,막상 사용해 보니 나름의 재미가 있었다. 그래서 철저히 초보 술사 입장에서,새로운 마법 ..


오늘은 정말 쉬워보이지만 맞추기 어려운 문제를 가져왔다. 문제사진과 같이 동전이 2개 있다.동전이 서로 붙어있는 상태에서 아래있는 동전의 원 둘레를 따라 위에 있는 동전을 굴린다.위에 있는 동전이 아래 동전을 한 바퀴 돌아서 다시 제자리에 왔을 때위에 있는 동전은 몇 바퀴를 회전했을까? 정답정답은 당연히 1바퀴? 라고 생각했으면 틀렸다. 정답은 2바퀴다. 문제풀이1바퀴라고 생각한 사람은 아마도원의 크기를 다르게 냈다면이러한 풀이를 했을 것이다. 반지름으로 각각의 원의 둘레를 구하고 비교를 했을 것이다. 위의 그림 2개를 아래 그림처럼 합쳤을 때를 생각해보자.원의 둘레 길이만큼을 한 번 이동하고90도로 꺽인 방향으로 한 번 더 이동했을 때원은 2바퀴를 돈 것에 빨간색 거리만큼 더 이동한다. 결국 한 변이..


삼성페이를 쓴 뒤로 지갑을 가지고 다닌 적이 없다. 나에게 삼성페이는 이제 없어서는 안 되는 기술이다. 그런데 문득 키오스크에서 결제를 하는데 궁금증이 생겼다. 결제 방식을 선택할 때 삼성페이 말고 신용카드를 선택해도 삼성페이로 결제가 가능했다. 대신 결제 방식에 따라서 스마트폰을 결제 단말기에 갖다 대는 위치가 달랐다. 그리고 결제 방식에 삼성페이가 따로 있으면 애플페이도 같이 있었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결제 방식에는 어떤 것들이 있고 장단점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카드 리더기 결제 원리 1. 마그네틱(Magnetic) 방식 (1970년대 개발, 1980년대부터 대중적으로 사용) - 카드 뒷면에 있는 마그네틱 띠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오는 방식 - 카드를 리더기에 긁을 때 발생하는 자기장 변화를 감지..


최근 일본 여행을 가서 보조배터리를 자주 사용했었다. 내 보조배터리 용량은 10,000mAh로 핸드폰 용량이 5,000mAh 정도니까 완충 2번은 될 줄 알았다. 그런데 실제로는 완충 1번 정도만 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물론 에너지가 열로 빠지기 때문에 100%는 아닐 거라고 알고 있었지만 생각보다 너무 터무니없는 효율에 어이가 없었다. 무튼 각설하고 도대체 이렇게 효율이 낮은지 조사를 해보았다. 보조배터리 사양 우선 배터리 효율을 따지기 전에 기본적인 배터리 지식이 필요했다. 그래서 내가 실제 사용 중인 삼성의 EU-U1200 모델로 공부를 해보았다. 우선 내가 이 모델을 샀던 이유는 용량 10,000mAh라는 큰 수치와 고속 충전과 무선 충전이 가능한 점이었다. 그러나 실제 제품 사양을 보면 여..